본문 바로가기

공부/python

(python) 튜플, 세트, 딕셔너리, 문자열6 - 문자열, 슬라이싱, 문자열 in연산자와 not in연산자, 문자열 비교하기, 문자열에서 단어 분리

문자열

문자열은 문자들의 시퀀스로 정의된다. 글자들이 실(string)로 묶여 있는 것이

문자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이썬에서는 str클래스가 문자열을 나타낸다.

문자열은 변경 불가능한 객체이다.

아래의 예를 보자.

쉬우니 바로 넘어가겠다.

 

슬라이싱

슬라이싱(slicing)은 문자열의 일부를 잘라서 서브 문자열을 만드는 연산이다.

아래의 예를 보자.

[0:2]는 0부터 1까지의 구간을 의미하고, [2:5]는 2부터 4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in연산자와 not in연산자

문자열 안에 다른 문자열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in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예를 보자.

 

문자열 비교하기

파이썬에서는 문자열과 문자열을 비교하여 어떤 문자열이 사전에서 먼저

나오는지 검사할 수 있다.

관계연산자를 이용하면 된다.

아래의 예를 보자.

 

문자열에서 단어 분리

문자열에서 단어를 분리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는 split()이다.

split()는 문자열 안의 단어를 분리하여서 단어들의 리스트로 만들어서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