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스쿨에서 운영하고있는 F.T.Z 서버에서 연습한 내용+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정리함.
[trainer1@ftz trainer1]$ →프롬프트
(앞)trainer1 → 접속ID
ftz → 서버명
(뒤)trainer1 → 현재 위치 및 경로
[ ] → shell,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쉘은 bash이다. 이에 관해선 후에 관련 글을 더 작성하도록 하겠다.
$ → 일반사용자(trainer1)
# → 관리자(root)
ls 명령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컴퓨터에 설치된 디렉토리(=폴더)들과 파일들을 보여주는 역할
(알파벳 순서대로 출력한다.)
ls -l
이 옵션을 사용하면 디렉토리와 파일을 구분하여 출력한다.
ex) 디렉토리와 파일의 구분
-rw-rw-r-- 1 trainer1 trainer1 779 9월 24 18:37 start.txt drwxr-xr-x 2 trainer1 trainer1 1024 9월 24 11:52 tmp |
- '-'로 시작하면 파일, 'd'로 시작하면 디렉토리이다.
- 'trainer1 trainer1'라고 적힌 부분은 permission(퍼미션, 권한)이라고 한다.
- '779'로 숫자로 된 부분은 용량을 말한다.(기본단위는 byte)이다.
- 날짜부분은 생성 날짜이다.
- 가장 뒷부분은 그 디렉토리나 파일의 이름이다.
ls -a
리눅스에서 설정파일과 같은 중표 파일은 숨겨져있는데 -a옵션을 사용하면 볼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숨겨진 파일명의 시작이 ' . '이다. 마찬가지로 파일명 앞에 ' . '을 붙이면 숨겨진다.
ls -al
위의 옵션을 모두 합쳐 숨겨진 파일과 디렉토리를 모두 보여준다.
위 명령처럼 다양한 조합으로 l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ls -h
파일의 크기를 byte로 표시하는게 아닌 K, M, G 단위로 표시해준다.
ls -S
파일을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해서 보여준다.
ls -R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도 보여준다.
ls -r
파일의 순서를 알파벳 순서의 반대로 출력해준다.
ls -u
가장 최근에 사용된 파일 순으로 정렬해서 보여준다.
ls -c
파일의 가장 최근에 변경(속성, 권한, 크기 등)된 시간에 따라 정렬해 보여준다.
ls -i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처음 생성시 부여받는 고유번호를 보여준다.
ls -m
정렬될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세로가 아닌 가로로 배열해서 보여준다. (' , '로 구분함)
ex) 가로 배열 예시
[root@ftz root]$ ls -m start.txt, tmp [root@ftz root]$ |
'공부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 생성 및 제거(mkdir, rmdir) (0) | 2019.08.28 |
---|---|
리눅스 pwd, cd 명령어 및 옵션 정리 (0) | 2019.08.27 |